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Q. 여랑야랑, 정치부 김민지 기자와 함께합니다. 첫 번째 주제 보겠습니다. 송영길 전 민주당 대표, 우상호 비대위원장, '다시' 뭘까요? <br><br>'불참'입니다. <br> <br>오늘 제2연평해전 기념식이 열렸죠. <br> <br>지난해 송영길 민주당 대표는 참석했지만, 올해 우상호 비대위원장은 불참했고, 대변인 논평으로 대신했습니다. <br><br>Q. 지난해에도 송 대표 참석이 이례적이라는 평가가 있었던 기억이 나네요. <br><br>민주당 대표가 이 기념식에 간 건 6년 만이었던 데다, 문재인 정부 들어 첫 참석이었기 때문입니다. <br> <br>당시 송 대표는 "튼튼한 안보를 기초로 서해를 평화의 바다로 지켜내겠다"고도 했고요.<br><br>"이름뿐인 추서가 안 되도록 챙기라"고 지시하는 등 각별히 신경 쓰는 모습이었는데요.<br> <br>일각에서는 대선용 안보 챙기기라는 지적도 나왔습니다. <br> <br>민주당은 대선 직전까지 '안보 표심' 잡기에 열심이었는데요. <br><br>[이낙연 / 당시 민주당 총괄선대위원장(지난 2월)]<br>"(안보 철학과)역량을 가진 정치세력은 민주당입니다. 김대중 정부는/ 두 차례의 연평해전을 완전히 승리하며 북한의 도발을 단호하게 응징했습니다." <br><br>Q. 선거용 아니냐는 눈초리를 받았었는데도, 올해는 왜 안 갔을까요? <br><br>민주당 관계자는 "기념식에 참석한 지난해가 특이했던 것"이라며 올해는 아예 참석을 논의하지도 않았다고 했는데요. <br><br>기념식이 열리던 시각, 우상호 비대위원장은 비대위 회의에 참석했고, 오후에는 지방선거 당선자들과 만났습니다. <br><br>[우상호 / 더불어민주당 비상대책위원장 (오늘)]<br>"많은 분이 당선되실 줄 알고 대회의실을 예약해놨더니 (ㅎㅎㅎㅎ) 하하하 그... 그렇게 됐습니다. (쓰읍...) 사실 이 자리에 함께하셨어야 할 동지들을 생각하면 마음이 아픕니다." <br><br>올해 기념식에 가진 않았지만, 희생자들을 기리는 마음만큼은 변치 않았길 바랍니다. <br><br>Q. 다음 주제 보겠습니다. '노룩 악수?' 윤석열 대통령과 바이든 미 대통령의 악수를 두고 의견이 분분하더라고요. <br><br>스페인 마드리드에서 바이든 대통령이 윤 대통령을 쳐다보지 않고 이른바 '노룩' 악수를 했다는 주장이 제기됐는데요. <br> <br>영상으로 확인해 보시죠. <br><br>지금 보시는 장면을 국내 방송사에서 내보낼 때 두 정상의 악수하는 손이 자막에 가려졌거든요. <br> <br>그래서 '바이든 대통령이 윤 대통령을 그냥 지나친 것 아니냐'는 주장이 나오기도 했습니다. <br><br>Q. 순간순간 포착 장면만 보는 거지, 진실을 알 순 없죠. <br><br>반면 '바이든 대통령이 그래도 윤 대통령에게 처음 악수를 청했다'는 점에 의미를 둬야 한다는 주장도 있습니다. <br><br>Q. 김건희 여사도 관심인데, 부부가 함께 만찬에 참석을 했지요. <br><br>네, 스페인 국왕이 주최하는 만찬에 부부 동반으로 참석했는데요.<br> <br>이런 행사는 처음이라, 다소 긴장한 모습도 있었습니다. <br><br>Q. 우크라이나 전쟁이 한창인데, 하얀색 의상을 입는 게 배려가 부족하다는 공격도 있던데요. <br><br>확인해보니 그건 아니었습니다. <br><br>질 바이든 여사를 비롯해 흰색 의상이 여럿 눈에 띄었는데요. <br><br>대통령실 관계자는 "색깔 제한이 없었고 김 여사는 바닥에 끌리지 않는 칵테일 드레스를 입었다"고 설명했습니다. <br> <br>데뷔 무대라 긴장은 되겠지만 국가를 대표해서 간 만큼 최선을 다해 주길 바랍니다 (국가대표) <br><br>Q. 한 번에 주요 정상들 다 만날 수 있으니 많이 친해지고 오면 좋겠네요. 여랑야랑이었습니다. <br><br>구성: 김민지 기자·김지숙 작가 <br>연출·편집: 정새나PD·배영진PD <br>그래픽: 김민수 디자이너<br /><br /><br />김민지 기자 mj@donga.com